14년만의 한국과 일본 한일전 야구 경기가 펼쳐질 예정입니다. 2023 wbc 한국과 일본 한일전 중계방송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wbc 한일전 하이라이트▶
1. 2023 WBC 한일전 한국 일본 중계방송
2023 WBC 경기에서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 체코 그리고 호주와 함께 B조에 속해 있습니다. 각 일정별로 경기를 치루게 되는데요, 가장 먼저 3월 9일 일본 도쿄돔에서 12:00에 호주와의 경기를 치른 다음 10일 오후 7시에 같은 장소에서 일본과 경기를 치루게 됩니다.
2023 WBC 한일전 한국 일본 경기 중계 방송은 지상파 3사에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한국과 일본과의 경기는 일본 도쿄돔에서 치루어지며 한국대표팀 들의 활약을 기대해 볼 만합니다. 일본은 이 대회에서만 2차례나 우승한 강력한 팀이지만 이미 오래전 경기이며 우리나라 팀 또한 막강하기 때문에 기대해 볼 만합니다.
2023 wbc 한일전 한국과 일본 경기는 3월 10일 오후 7시에 일본 도쿄돔에서 개최되고, 3월 12일 12:00에 체코와 그리고 3월 13일 오후 7시에는 중국과 경기를 치루게 됩니다.
2. 2023 wbc B조 경기일정, 중계방송
각 조에서 2위까지 2라운드인 8강에 진출하기 때문에 최소 2위를 차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가장 먼저 겨루게 되는 호주와의 경기에서는 반드시 이겨야하는데요,
D조 경기 일정별 시간과 중계방송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날짜 | 시간 | 국가 | 중계방송 |
3.9 | 12:00 | 호주:한국 | SBS |
3.9 | 19:00 | 중국:일본 | MBC(스포츠) |
3.10 | 12:00 | 체코:중국 | SBS(스포츠) |
3.10 | 19:00 | 한국:일본 | MBC KBS SBS |
3.11 | 12:00 | 중국:호주 | KBSN(스포츠) |
3.11 | 19:00 | 체코:일본 | SBS(스포츠) |
3.12 | 12:00 | 체코:한국 | SBS |
3.12 | 19:00 | 일본:호주 | MBC(스포츠) |
3.13 | 12:00 | 호주:체코 | KBSN(스포츠) |
3.13 | 19:00 | 한국:중국 | KBS |
또한 각 일정별 경기는 지상파 3사 KBS, MBC, SBS에서 중계 방송 뿐만아니라 웨이브나 아프리카TV, 스포티비 등 인터넷이나 케이블TV 등에서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각 경기의 하이라이트 경기 등도 네이버 스포츠등에서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지상파 방송3사 바로가기는 아래를 클릭하세요!
3. 2023 WBC 조편성
2023 WBC 조편성은 20개국이 각 5개 나라씩 D조까지 편성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 호주, 예선 통과국으로 B조에 편성되었는데요, WBC 경기는 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 대륙에서 참가하게 되고 각 조별리그로 진행하게 됩니다.
2023 wbc 각 조별 국가를 살펴보면 A조는 대만 타이중에서 경기를 치르게되며 대만, 네덜란드, 쿠바, 이탈리아, 파나마가 속해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B조는 일본 도쿄에서 경기를 진행하게되고, 한국과 일본, 호주, 중국, 체코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C조는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경기가 치루어지며 미국, 멕시코, 콜롬비아, 캐나다, 영국이 속해 있습니다.
D조는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경기가 진행되는데요, D조는 푸에르토리코, 베네수엘라, 도미니카공화국, 이스라엘, 니카라과가 속해 있습니다.
각 국가별 참가국들의 조별 편성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 | 참가국 | 장소 |
A조 | 대만, 네덜란드, 쿠바, 이탈리아, 파나마 | 대만 |
B조 | 일본, 한국, 호주, 중국, 체코 공화국 | 도쿄돔 (일본) |
C조 | 미국, 멕시코, 콜롬비아, 캐나다, 영국 | 피닉스 (미국) |
D조 | 푸에르토리코, 베네수엘라, 도미니카 공화국, 이스라엘, 니카라과 | 마이애미 (미국) |
4. 라운드별 경기 일정
2023 WBC 경기는 조별리그와 2라운드인 8강 그리고 준결승, 최종 챔피언을 뽑는 결승전으로 나우어져 운영되고, 각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별리그 경기는 3월 8일에서 3월 15일까지이고 8강 경기인 2라운드 경기는 3월 15일부터 3월 18일까지 진행됩니다.
준결승전은 3월 19일부터 3월 20일까지이고, 결승 경기는 3월 21일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리게 됩니다.
구분 | 일시 |
조별리그 | 2023년 3월 8일 ~ 3월 15일 |
2라운드 | 2023년 3월 15일 ~ 3월 18일 |
준결승 | 2023년 3월 19일 ~ 3월 20일 |
결승 | 2023년 3월 21일 |
5. 2023 WBC 2라운드 일정
8강인 2라운드는 각 조에서 1,2가 진출하여 겨루게 되는데요, 우리나라가 2라운드에 진출하게되면 B조 우승침 또는 준우승팀과 겨루게 됩니다. 2라운드는 도쿄와 마이애미에서 경기가 치루어지고, 집니다.
날짜 | 국가 |
2023.3.15 | B조준우승:A조우승 |
2023.3.16 | A조준우승:B조우승 |
2023.3.17 | C조준우승:D조우승 |
2023.3.18 | D조준우승:C조우승 |
6. 2023 WBC 준결승 일정
2023 WBC 준결승전 경기는 3월 19일과 3월 20일에 경기가 각각 진행됩니다. 8강에서 승자끼리 붙게 됩니다.
날짜 | 국가 |
2023.3.19 | 8강 1경기 승자:8강 3경기 승자 |
2023.3.20 | 8강 2경기 승자:8강 4경기 승자 |
7. 2023 WBC 결승전 일정
대망의 결승전은 3월 21일 미국의 마이애미에서 경기가 진행되는데요, 결승전 중계방송은 지상파 3사에서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8. WBC 출전 한국 대표팀 선수 라인업
2023 WBC 경기에 출전하는 우리나라 대표팀 선수 라인업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투수 15명 그리고 포수 2명, 내야수 8명 외야수 5명이 출전하게 됩니다. 각 포지션별 선수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우투수> – 10명
고우석(LG), 정우영(LG), 고영표(KT), 소형준(KT), 이용찬(NC), 원태인(삼성), 김원중(롯데), 박세웅(롯데), 곽빈(두산), 정철원(두산)
<좌투수> – 5명
김광현(SSG), 김윤식(LG), 양현종(기아),이의리(기아), 구창모(NC)
<포수> – 2명
이지영(키움), 양의지(두산)
<내야수> – 8명
최정(SSG), 김혜성(키움), 오지환(LG), 박병호(KT), 강백호(KT), 김하성(SD), 애드먼(STL), 최지훈(SSG)
<외야수> – 5명
이정후(키움), 김현수(LG), 박해민(LG), 나성범(기아), 박건우(NC)
9. 일본대표팀 명단
14년만의 한일전 경기에 일본 대표팀 명단 또한 중요하실 텐데요, 일본 대표팀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일본은 오타니 쇼헤이(LAA)외에 다르빗슈 유(샌디에이고), 야마모토 요시노부(오릭스), 사사키 로키(지바 롯데)까지 4명의 선발투수가 유력한데 등판 날짜는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투수
(우완-10명)
다르빗슈 유(SD), 사사키 로키(지바 롯데), 유아사 아츠키(한신), 야마모토 요시노부(오릭스), 토고 쇼세이(요미우리), 이토 히로미(닛폰햄), 쿠리바야시 료지(히로시마), 타카하시 히로토(주니치), 우다가와 유키(오릭스), 오타 타이세이(요미우리)
(좌완-4명)
이마나가 쇼타(요코하마), 미야기 히로야(오릭스), 타카하시 케이지(야쿠르트), 마쓰이 유키(라쿠텐)
포수(3명)
카이 타쿠야(소프트뱅크), 나카무라 유헤이(야쿠르트), 오시로 타쿠미(요미우리)
내야수(7명)
야마카와 호타카(세이부), 마키 슈고(요코하마), 야마다 테츠토(야쿠르트), 무라카미 무네타카(야쿠르트), 오카모토 카즈마(요미우리), 겐다 소스케(세이부), 나카노 타쿠무(한신)
외야수 (4명)
스즈키 세이야(CHC), 콘도 켄스케(소프트뱅크), 요시다 마사타카(BOS), 라스 눗바(STL)
투타(1명)
오타니 쇼헤이(LAA)
10. 호주 대표팀 라인업
가장 먼저 한국과 경기를 진행할 상대는 바로 호주입니다. 한국과 호주는 3월 9일 12:00에 일본 도쿄돔에서 경기를 가질 예정인데요, 호주 대표팀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투수 20명
Tim Atherton, 과거 오클랜드 마이너리거
리암 두란 (Liam Doolan), LA 다저스
카일 글로고스키 (Kyle Glogoski), 신시내티
Josh Guyer, 이전 미네소타 마이너리거
Sam Holland, 이전 샌디에이고/LA 에인절스 마이너리거
Jon Kennedy, 이전 애틀란타 마이너리거
Tim Kennelly, 이전 필라델피아 마이너리거
Steve Kent, 이전 애틀란타 마이너리거
Daniel McGrath, 이전 보스턴 마이너리거
Mitch Neunborn
잭 오로린 (Jack O’Loughlin), 디트로이트
Warwick Saupold, 이전 디트로이트 마이너리거
윌 셔리프 (Will Sherriff), 애리조나
블레이크 타운센드 (Blake Townsend), 시애틀
Todd Van Steensel, 이전 미네소타 마이너리거
Luke Wilkins
Chris Oxspring, 이전 샌디에이고 마이너리거
Josh Tols, 과거 필라델피아 마이너리거
Matt Beattie, 이전 디트로이트 마이너리거
Coen Wynne
포수 4명
Ryan Battaglia, 과거 클리블랜드 마이너리거
알렉스 홀 (Alex Hall), 밀워키 브루어스
Jordan McArdle, 과거 애리조나 마이너리거
Robert Perkins, 과거 콜로라도 마이너리거
내야수 7명
Jake Bowey, 이전 휴스턴 마이너리거
제라이드 돌 (Jarryd Dale), 샌디에이고
Darryl George, 이전 탬파베이 마이너리거
로비 글렌디닝 (Robbie Glendinning), 캔자스시티
Liam Spence, 이전 시카고 컵스 마이너리거
Logan Wade, 이전 미네소타 마이너리거
릭슨 윈그로브 (Rixon Wingrove), 필라델피아
외야수 3명
Ulrich Bojarski, 이전 디트로이트 마이너리거
애런 화이트필드 (Aaron Whitefield), LA 에인절스
Andrew Campbell, 이전 클리블랜드 마이너리거
11. 역대 WBC 우승국
WBC 경기는 2006년 처음 개최되었고 4년마다 열리는데요, 2006년, 2009년 일본이 우승하였습니다. 2013년에는 도미니카 공화국이 그리고 2017년에는 미국이 우승하였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성적이 2006년에는 3위 그리고 2009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한 바 있습니다.
과연 이번 2023 WBC에서 우리나라는 어느 정도의 성적을 거둘지 기대가 됩니다.
연도 | 개최지 | 우승 | 스코어 | 준우승 | 3위 | 4위 |
2006년 | 샌 디에고 |
일본 | 10-6 | 쿠바 | 한국 | 도미니카 공화국 |
2009년 | 로스 앤젤레스 |
일본 | 5-3 (F/10) |
한국 | 베네수엘라 | 미국 |
2013년 | 샌프란시스코 | 도미니카 공화국 | 3-0 | 푸에르토 리코 | 일본 | 네덜란드 |
2017년 | 로스 앤젤레스 |
미국 | 8-0 | 푸에르토 리코 | 일본 | 네덜란드 |
12. WBC 역대 최우수 선수
WBC 역대 최우수 선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2번 우승한 일본에서 2명 그리고 미국과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각각 1명씩 선정되었습니다.
연도 | 이름 | 포지션 | 국가 |
2006년 | 마츠자카 다이스케 | 선발 투수 | 일본 |
2009년 | 마츠자카 다이스케 | 선발 투수 | 일본 |
2013년 | 로빈슨 카노 | 2루수 | 도미니카 공화국 |
2017년 | 마커스 스트로먼 | 선발 투수 | 미국 |